영화로 인공지능 이해하기

영화로 인공지능 이해하기

  • 자 :장미화
  • 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
  • 출판년 :2025-03-21
  • 공급사 :(주)북큐브네트웍스 (2025-07-08)
  • 대출 0/1 예약 0 누적대출 1 추천 0
  • 지원단말기 :PC/스마트기기
  • 듣기기능(TTS)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 신고하기
  • 대출하기 미리보기 추천하기 찜하기
  • qr코드

인공지능과 인간의 미래: 트랜스휴먼 시대의 윤리적 고찰

1970년대 앨빈 토플러는 3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예고하며, 이제 4차 산업혁명에서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기반 초지능 혁명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룬다고 말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인공지능은 1960년대 MIT의 존 매카시가 처음 개념화한 후, 영화와 문학을 통해 인류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발전해왔다. 영화 속 인공지능 캐릭터들은 인간성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양상을 띠며, 인간의 신체와 마음이 기계와 결합하는 미래를 보여준다.

특히, 영화 〈업그레이드〉(2018)에서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신체와 결합하면서 자아 정체성의 위기를 초래하는 문제를 다루며, 인공지능의 윤리성과 통제 문제를 제기한다. 또한, 〈그녀〉(2014)와 〈엑스 마키나〉(2014) 같은 작품은 인공지능이 인간과의 관계에서 겪는 모순과 갈등을 통해,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인공지능의 진화와 함께,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트랜스휴먼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인간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품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개념을 재정의할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윤리적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21세기 기술 발전에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영화와 문학을 통해 인공지능의 발전이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성찰하며, 우리는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지원단말기

PC : Window 7 OS 이상

스마트기기 : IOS 8.0 이상, Android 4.1 이상
  (play store 또는 app store를 통해 이용 가능)

전용단말기 : B-815, B-612만 지원 됩니다.
★찜 하기를 선택하면 ‘찜 한 도서’ 목록만 추려서 볼 수 있습니다.